본문 바로가기
피부관리

화장품 성분명 표준화 기준

by 유키♡ 2022. 6. 5.

 

화장품 성분명 표준화를 위한 기준은 「화장품법」 제12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21조 제2호에 의거하여 협회 성분명 표준화 위원회에서는 화장품 성분 명칭을 표준화 하고 있습니다.


1. 화장품 성분의 명칭 표준화에 대한 일반적 원칙은 다음과 같다.

표준명은 원칙적으로 대응하는 영어명칭이 화학명일 경우에는 한글로 음역하고, 화학명이 아닌 경우는 번역하여 명명한다. 동‧식물과 같이 학명이 있는 성분 또는 일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관용명이 있는 성분은 별도로 정한다. 또한 대응하는 영어명칭이 없는 경우 별도로 정한다.

 

  • 표준명에 사용하는 문자 : 표준명은 원칙적으로 한글, 숫자 및 영문 알파벳을 사용해서 작성한다.
  • 다만 영어알파벳은 ([D, L, DL], [α, β, γ] 오르쏘(ortho). 메타(meta). 파라(para)] 및 [t-] (터셔리 tertiary))등과 같은 기호에만 사용한다.
  • 원소명의 취급 : 원소명은 [별표2]와 같다. 다만, 별표2에서 명명하지 않은 원소의 경우에는 IUPAC명에 따라 음역하여 명명한다.
  • 약호의 취급 : 영문명칭 중 [별표3]에 수재되어 있는 성분명칭이 사용되어 있는 경우 또는 부분구조명칭을 포함하는 경우는 [별표3]에 따라 명명한다.
  • 혼합물 (용액 및 무기안료의 피복처리물 포함) : 정제 또는 합성된 복수의 성분으로 구성된 혼합물은 각각 구성성분으로 명명한다.
  • 복수의 동족화합물을 포함하는 원료, 복수의 동‧식물 원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원료 또는 복수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폴리머 : 어떤 부분구조가 복수의 동족화합물을 포함하는 원료, 복수의 동‧식물 원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원료 또는 복수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폴리머인 경우, 그 복수성분을 단일성분으로 취급한다.
  • 즉 단일성분으로 간주하는 복수원료의 성분명칭을 [ / ](slash, 사선)로 이어서 표시하고 이것을 [( )](괄호)로 묶는다. 부분구조의 기재순서는 영문명칭에 준한다.
  • 결정수 : 표준명에는 원칙적으로 결정수를 생략한다.
  • 기원이 다른 원료의 취급 : 화학구조가 동일한 원료에 대해서는 기원의 여하를 불문하고 동일 명칭으로 한다.
  • 접두어 및 접미어 : 접두어 및 접미어를 붙여서 그 원료의 특성, 기원 또는 정제도 등을 명시하고 있는 경우, 성분의 본질이 동일하면 원칙적으로 접두어 또는 접미어를 생략하고 동일 명칭으로 한다.

 

2. 화장품용 색소는 “화장품의 색소 종류와 기준 및 시험방법(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의 명칭으로 기재한다.

 

3. 동․식물 유래원료에 대한 명명 기준은 다음과 같이 한다.

주성분이 분리․정제되어 거의 단일성분에 가까운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 경우는 그 성분명칭을 표준명으로 한다.

상기 이외의 경우는 아래와 같이 표시한다.

 

  •  원칙적으로 동식물의 관용명과 사용부위를 열거하고 ‘원료의 성상'에 해당하는 단어를 붙여서 명명한다.
  • 사용부위를 표기하지 않아도 일반적으로 쉽게 인지되는 경우에는 부위를 생략한다.(예: 사과추출물, 감추출물) 다만, 일반적으로 인지되는 부위와 다른 부위를 사용한 경우에는 표시한다. (예 : 사과나무뿌리추출물) 사용부위는 원칙적으로 우리말로 표시한다.(예 : 인삼잎추출물)
  • 관용명은 다음에 나열한 참고자료에서 한글명을 검색하여 명명한다.
  1. 국가표준식물목록 (http://www.nature.go.kr)의 식물종 및 재배품종명(다만, 학명을 종명+속명으로 음역하여 기재한 경우 제외)
  2. 한반도생물자원포털 (https://species.nibr.go.kr/index.do)- 국립수산과학원 해양생물종(http://portal.nfrdi.re.kr/)
  3.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원재료검색 (http://www.foodsafetykorea.go.kr/main.do)
  4. 기타 백과사전 및 식물관련도감 등 관련서적
  • 한국어로 된 관용명이 없을 경우에는 일반화된 영어명 (관용명, Common Name)을 영어사전을 이용하여 한글로 번역하거나, 음역 한 명칭을 사용한다.
  • 외국어 명칭도 없을 경우에는 학명을 라틴학명 고전발음법에 따라 명명하며, 속명과 종명은 사이는 한 칸을 띄어 구분한다. 학명에 아명이 추가된 경우 ‘아명의 음역+정명의 한글명’으로 명명한다.

 

4.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명명한다.

  • ‘추출물 원재료+추출물’로 명명한다.  ※ 동식물의 경우에는 원재료란 학명+사용부위이다.
  • 추출용매는 기재하지 않을 수 있다.
  • 혼합용매는 각각 구성성분으로 구분하여 기재한다.
  • 혼합한 복수의 동식물에서 얻은 추출물은 하나의 성분으로 기재한다. 예시) 라벤더꽃/바질꽃/로즈마리잎추출물
  • 동식물의 추출물을 2종 이상 혼합한 경우는 각각의 구성성분으로 구분하여 기재한다. 예시) 라벤더꽃추출물, 바질꽃추출물, 로즈마리잎추출물

 

5. 발효물은 다음과 같이 명명한다.

  • 발효물 자체가 관용명을 가진 경우는 그 명칭을 표준명으로 한다. (예 : 잔탄검(Xanthan Gum), 웨이(Whey)).영어명칭의 'Ferment'발효물로 번역하여 명명한다.
  • 관용명이 없는 경우는 ‘기질의 명칭+발효물’로 명명한다. (예 : 쌀발효물) 또한, 이들로부터 얻는 추출물은 ‘기질+발효추출물’로 명명한다. (예 : 쌀겨발효추출물)
  • 얻어지는 발효물 성분 중, 분석데이터 등에서 단리․정제되어 있다고 간주할 수 있는 성분에 대해서는 특정화학명칭 또는 총칭으로 표시한다. (예 :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6. 배양물은 ‘배양균명+배양물’로 명명한다.

또한, 이들로부터 얻는 추출물은 ‘배양균명+배양추출물’로 명명한다. (예 : 송이버섯균사체배양추출물)

 

7. 영어명칭의 'Oil'은 '오일'로 명명하며, 기름 또는 유(油)로 명명하지 않는다.

다만, 화합물의 일부로 식물명이 사용되는 경우는 '식물명+오일 (예: 하이드롤라이즈드호도오일, 폴리(아마인오일))'로 명명하며, Castor Oil 및 Palm Oil은 화합물로 널리 사용되어 관용화 되었으므로 한글 식물명(피마자, 기름야자)을 사용하지 않고 음역하여 각각 캐스터오일 및 팜오일로 한다.

 

8. 영어명칭을 음역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으나, 다음에서 정한 것 이외의 것은 [별표4]에 의하여 명명한다.

다만, 항목 3의 원칙이 항상 우선된다.

 

  • -mer는 머로 음역하였다
Poloxamer 폴록사머

 

  • 단어의 처음에 오는 X는 ‘ㅈ’으로, 중간 또는 말미에 오는 X는 ‘ㄱ스’로 기재하였다.
Xylitol 자일리톨
Dextran 덱스트란

 

  • -ium은 ‘윰’으로 음역하되 앞의 자음과 붙여서 명명한다.
Chromium Oxide 크로뮴옥사이드

 

  • 기능단을 표시하는 접미사 -ol, -al, -one 등은 자음과 분리하여 명명한다. 단, phenol은 예외로 하며 ‘페놀’로 명명한다.
Methanol 메탄올
Bisabolol 비사보롤

 

  • -acid는 ‘애씨드’로 명명한다. 다만, amino acid는 “아미노산”, fatty acid는 “지방산”으로 명명한다.

 

  • 효소를 뜻하는 -ase는 ‘-아제’로 명명한다.

 

  • 모음과 자음 사이의 r은 표기하지 않거나 모음에 ㄹ 받침으로 붙여 명명한다. 다만, r 다음에 m 오는 경우는 ‘름’으로 명명하며, ar-로 시작되는 경우는 "아(亞)-산"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아르-"로 명명한다.
carbomer 카보머
carboxy 카복시-
chloroform 클로로포름
arsine 아르신

 

  • -er은 ‘ㅓ’로 표기하였다.
ester 에스터
ether 에터
terpene 터펜

 

  • th는 "트"로 명명하지만, "thio-"와 "ortho"는 각각 "티오"와 "오쏘"로 명명한다.
sodium thiosulfate 소듐 티오설페이트
Threonine 트레오닌
Thio- 티오-

 

  • -ene는 ‘-엔’으로 명명한다.
Benzene 벤젠

 

  • -ide는 ‘-아이드’로 명명한다. 단, 'imide'는 '이미드'로, 'amido'는 '아미도'로, 'imido'는 '이미도'로 각각 명명한다.
Hydride 하이드라이드

 

  • hy-, cy-, xy-, ty-는 각각 ‘하이-’, ‘사이-’, ‘자이-’, ‘타이-’로 명명한다.
Hydride 하이드라이드
Xylene 자일렌
Styrene 스타이렌
Anhydro 안하이드로
Aldehyde 알데하이드
Glyco- 글라이코-

 

  • u는 일반적으로 ‘ㅜ’로 명명하지만 ‘ㅓ’ 또는 ‘ㅠ’로 명명하는 경우도 있다.
Toluene 톨루엔
Sulfide 설파이드
Butane 부탄
 
  • 당류는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Glucose 글루코오스
Lactose 락토오스
Fructose 프룩토오스
 
  • 접두어는 다음과 같이 표기하였다.
trans- 트랜스
di-
bi- 바이
icos- 아이코사
eicosa 에이코사
cyclo- 사이클로
meso- 메소
abeo- 아비오
retro- 레트로
des- 데스
de-
lyso- 라이소

[별표1] 원료의 배합목적
연번 한글배합목적 영문배합목적
1 pH 조정제 pH Adjusters
2 가소제 Plasticizers
3 각질제거제 Exfoliants
4 감미제 Flavoring Agents
5 결합제 Binders
6 계면활성제 Surfactants
7 계면활성제(거품촉진제) Surfactants - Foam Boosters
8 계면활성제(분산제) Surfactants - Dispersing Agents
9 계면활성제(세정제) Surfactants - Cleansing Agents
10 계면활성제(용해보조제) Surfactants - Solubilizing Agents
11 계면활성제(유화제) Surfactants - Emulsifying Agents
12 계면활성제(친수제) Surfactant - Hydrotropes
13 계면활성제(현탁화제) Surfactants-Suspending Agents
14 광안정화제/변색방지제 Light Stabilizers, Ultra viloet Light Absorbers
15 금속이온봉쇄제/킬레이트화제 Chelating Agents
16 기포방지제/소포제 Antifoaming Agents
17 네일컨디셔닝제 Nail Conditioning Agents
18 모발고정제 Hair Fixatives
19 미끄럼조정제/활택제 Slip Modifiers
20 미백개선제 Skin Bleaching Agents
21 벌킹제(증량제) Bulking Agents
22 변성제 Denaturants
23 보습제 Humectants
24 부식방지제 Corrosion Inhibitors
25 분사제 Propellants
26 분산제(비계면활성제) Dispersing Agents - Nonsurfactant
27 불투명화제 Opacifying Agents
28 비듬방지제 Antidandruff Agents
29 산화방지제 Antioxidants
30 산화제 Oxidizing Agents
31 보존제 Preservatives
32 속눈썹컨디셔닝제 Eyelash Conditioning Agents
33 수렴제 Cosmetic Astringents
34 안티케이킹제 Anticaking Agents
35 여드름완화제 Antiacne Agents
36 연마제 Abrasives
37 완충화제 Buffering Agents
38 용제 Solvents
39 유화안정제 Emulsion Stabilizers
40 자외선차단제 Sunscreen Agents
41 점도감소제 Viscosity Decreasing Agents
42 점도조절제 Viscosity Controlling Agents
43 점도증가제(비수성) Viscosity Increasing Agents - Nonaqueous
44 점도증가제(수성) Viscosity Increasing Agents - Aqueous
45 점착제 Adhesives
46 정전기방지제 Antistatic Agents
47 제모제(물리적) Epilating Agents
48 제모제(화학적) Depilating Agents
49 착색제 Colorants or Color additives
50 착향제 Fragrance Ingredients
51 체취방지제 Deodorant Agents
52 퍼머넌트웨이브용제/헤어스트레이트너용제 Hair-Waving/Straightening Agents
53 표면조정제 Surface Modifiers
54 피막형성제 Film Formers
55 피부보호제 Skin Protectants
56 피부컨디셔닝제 Skin-Conditioning Agents
57 피부컨디셔닝제(기타) Skin-Conditioning Agent - Miscellaneous
58 피부컨디셔닝제(보습제) Skin-Conditioning Agents - Humectant
59 피부컨디셔닝제(수분차단제) Skin-Conditioning Agent - Occlusive
60 피부컨디셔닝제(유연제) Skin-Conditioning Agents-Emollient
61 헤어컨디셔닝제 Hair Conditioning Agents
62 현탁화제(비계면활성제) Suspending Agents - Nonsurfactant
63 환원제 Reducing Agents
64 흡수제 Absorbents
65 용해제 Lytic Agents

[별표2] 원소의 표준명
원자번호 원소기호 IUPAC 이름 원소명
3 Li Lithium 리튬
11 Na Sodium(Natrium) 소듐
12 Mg Magnesium 마그네슘
13 Al Aluminium 알루미늄
19 K Potassium(Kalium) 포타슘
20 Ca Calcium 칼슘
56 Ba Barium 바륨

[별표3] 약호의 표준명
연번 약호 해당성분 표준명
1 AMP 아미노메칠프로판올 에이엠피
2 AMPD 아미노메칠프로판디올 에이엠피디
3 BG 1, 3-부틸렌글라이콜 비지
4 BHA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비에이치에이
5 BHT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비에이치티
6 DEA 디에탄올아민 디이에이
7 DIPA 디이소프로판올아민 디파
8 DMAPA 디메칠아민프로필아민 디마파
9 DME 디메칠에텔 디엠이
10 DNA 데옥시리보핵산 디엔에이
11 DPG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피지
12 DVB 디비닐벤젠 디브이비
13 EDTA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 이디티에이
14 HCl(L) 염산염 에이치씨엘
15 HEDTA 하이드록시에칠에칠렌디아민트리초산 에이치이디티에이
16 LPG 액화천연가스 엘피지
17 MEA 모노에탄올아민 엠이에이
18 MIBK 메칠이소부틸케톤 미비케이
19 MIPA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 미파
20 PABA 파라아미노안식향산 파바
21 PCA 피로리돈카르본산 피씨에이
22 PEI 폴리에칠렌이민 피이아이
23 PEG 폴리에칠렌글라이콜 피이지
24 PG 프로필렌글라이콜 피지
25 PPG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 피피지
26 PVP 폴리비닐피로리돈 피브이피
27 RNA 리보핵산 알엔에이
28 SE 자기유화형 에스이
29 SMDI 메칠렌비스(이소시아나토사이클로헥산) 에스엠디아이
30 TIPA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티파
31 TEA 트리에탄올아민 티이에이
32 VA 초산비닐 브이에이

[별표4] 음역 표기 방식
연번 문자 자음역방식
1 a ㅏ또는ㅔ이
2 b
3 c(a,o,u의앞)
4 c(i,e,y앞)
5 d
6 e
7 e (어미) (표기하지 않음)
8 f
9 g ㄱ 또는 ㅈ (모음 앞)
10 h
11 i ㅣ 또는 ㅏ이
12 j
13 k
14 l(모음 앞) ㄹㄹ
15 l(자음 앞)
16 m
17 n
18 o
19 p
20 q
21 r ㄹ 또는 표기하지 않음
22 s
23 t ㅌ, 받침의 경우 ㅅ
24 u ㅜ,ㅠ또는ㅓ
25 v
26 w
27 x
28 y (자음 다음) ㅣ 또는 ㅏ이
29 y (모음 앞) ㅑ, ㅛ, ㅠ
30 z
31 ph
32 sh
33 th ㅌ 또는 ㅅ(ㅆ)
34 -ane ㅔ인(다만, methane~octane은 ‘안’)
35 -ene
36 -yne ㅏ인
37 an(중모음)
38 er
39 iu
40 io ㅣ오 또는 ㅏ이오
41 ia ㅣ아
42 eu

 

화장품 성분사전은 '화장품 전성분표시‘에 사용하는 표준화 명칭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성분사전에 등재된 모든 원료들이 화장품에 반드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아닙니다. 화장품 원료의 사용가부를 판단하실 때는 화장품법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 <화장품 색소종류 기준 및 시험방법>등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더보기

[출처] 대한화장품협회 

'피부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센셜오일] 라벤더 Lavender  (0) 2022.06.07
화장품의 성분  (0) 2022.06.06
[피부관리기기] 글로브리프팅(G-wave)  (0) 2022.06.02
[피부관리기기] 스킨마스터  (0) 2022.06.02
화장품(Cosmetic)  (0) 2022.06.01

댓글